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진행

structure

by nalrinet 2007. 12. 12. 13:20

본문

형태를 지닌 존재는 모두가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조에 대해 스크랩을 한다면 이 세상에 형태를 지닌 모두를 스크랩 해야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어떤 기준없이 무턱대고 이리저리 자료를 구한다는 것은 너무 허무맹랑하고 막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내가 이 디자인이라는 공부를 계속하는 이상 평생 구조에 대해서 스크랩을 하면서 공부해야 한다고 볼 때 처음 스크랩한 양의 많고 적음을 따지기 보다는 앞으로 스크랩을 해나갈 바른 방향을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이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이 세상의 형태를 지닌 모든것에 대해 나누어 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나, 사물들이나, 관념들을 내가 내 기준에 맞춰서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때 내 기준이 되는 것은 내가 기존에 알고 있는 사실이나 경험에 기댈수밖에 없으므로...
그렇다면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나는 지금 하고 있는 공부를 하기 위해서 소묘와 정밀묘사를 공부했다. 이들을 공부할때 간단하게나마 구조에 대해서도 공부한적이 있다. 실제 예로 소묘에서 보면 내게 주어진 매개체를 가지고 점, 선, 면을 표현의 근거로해서 대상을 파악(분석, 해석)했다. 이것은 결국 눈에 보이는 이 세상의 그 어떤 것 중에 형태를 가지고 존재하는 것이라면 그림으로 그릴 수 있고(다른말로 파악, 분석, 해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점,선,면'을 근거로 크게 '빛, 운동, 구조'등의 표현으로서 대상을 표현하는데 그밖의 여러 다른 기준이 있을 수 있다.) 거기에는 전부 점, 선, 면이라는 표현의 근거를 똑같이 적용 시켜서 파악할 수 있다는 말이다. 또 대상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세잔'은 '모든 사물은 간단한 기하형태로 단순화 시켜서 볼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렇게 볼 때 결국 표현의 근거가 똑같이 적용이 되듯이 앞에서 말한 세잔의 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점 -구슬이나 지우개, 동전 등의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점이란게 원래 존재하지 않는 개념적인 것이라 모호해지기도 한다. 점을 확대해버리면 바로 면이 되어버리기 때문인데 어떤 시점에서 보느냐가 판단의 기준이 되겠다.(상대적이다.)
선 -젓가락이나 전선, 볼펜, 연필, 안경테, 심지어 팔 다리도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도 또한 개념적인 것이라 모호해지는데, 역시 점과 같이 어떤 시점에서 보느냐가 판단이 기준이 되겠다.(역시 상대적이다.)
면 -쟁반, 노트, 메모지, 창문, 책, 등등... 역시 점이나 선과 같이 어떤 시점에서 보느냐가 판단의 기준이 된다.(물론 상대적이다.)

이들 점, 선 면이 서로 조합되어 '구'나 '원기둥', '육면체', '원뿔' 등 기하형의 단순화된 구조로 볼 수도 있다.
구 -축구공, 농구공, 구슬, 지구본, 지구, 달, ... 등등, 원기둥 -각종 캔, 각종 다이얼, 전선, 연필, 인체, 형광등, ... 등등, 육면체 -각종 박스, 빌딩, ... 등등 , 원뿔 -고깔모자, 병의 윗부분, ... 등등

다시 이들 기하형의 단순화된 구조는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구조로 나뉘게 된다.
...
 
 

앞에서 말한 기준으로 구분지어 스크랩을 해나가도 별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내가 적용하면서 발견되는 문제는 그 구분하는 범위가 너무 방대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 자체가 원래 방대한 양이기는 하지만...) 그래서 여기에다 다른 기준의 구분방을 더하기로 하였다. '단순한 어떤 원리가 적용된 구조'로도 구분지어 나간다면 더 편리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크게 '힘의 원리','재료의 원리','인체의 원리'.

이중에서 '힘의 원리'는 좀 더 분류를 할 수 있겠는데 예를 들면 '균형의 원리','지렛대의 원리','나사의 원리','자체가 가진 형태의 원리'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물론 이렇게 구분짓는게 끝은 아닐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크랩의 양이 많아지고 미처 내가 생각지 못했던 작은 방법들이 더해지거나 수정되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