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5)
-
작업 5
작업 5 적용방법 수정 가로세로 비례를 줄여서 크기를 수정하였다. 일차구조와 이차구조 사이의 연결은 4개에서 6개로 다시 늘렸다. 보조적인 방법이던 도화지의 복원력 이용은 빼내고 날개부분에 기본구조를 이루고 있는 삼각 기둥을 밖으로 더 짧게 빼내기 위해서 안쪽으로 조금 집어 넣었다. 이로인해 사용하는 도화지의 양이 줄어들었다. 접착제는 딱풀을 주로 쓰고 종이테이프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딱풀은 물풀보다 종이가 마른다음에 덜 휜다. 실험결과 실험시 발생된 문제점 여전히 외부구조가 너무 작았다.
2007.12.14 -
작업 4
작업 4 적용방법 수정 가로세로 비례를 더 줄여서 크기를 수정하였다. 보조된 적용방법(충격흡수분산)을 수정하였는데 일차적으로 계란을 보호하고 있는 구조와 외부구조를 연결하고 있는 구조물 6개 중에서 2개를 제거하였다. 4개만으로도 충분하리라 생각하였다. 실험시 발생된 문제점 의도한대로 회전운동으로 많이 변환되었으나 내부구조와 외부구조를 연결하는 구조가 너무 약했다. 계란이 깨어졌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가버린 것 같다.
2007.12.14 -
작업 3
작업 3 적용방법 수정 가로세로 비례를 줄이는 크기를 수정을 통하여 회전운동으로의 변환을 더 늘리려고 하였고, 보조된 적용방법(충격흡수와 분산)에서는 날개 부분에 처음 작업에서 적용하였던 도화지의 저항력(복원력)을 변형적용하여 형태를 변화시켰다. 실험시 발생된 문제점 예상만큼 많은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지 않았다. 물론 앞의 실험보다는 많이 회전하였지만 아직도 내가 의도하는 바와 거리가 멀다. 더 많은 회전운동으로의 변환이 요구된다. 계란은 깨어지지 않았다.
2007.12.14 -
작업 2
작업 2 적용방법 수정 먼저 가장 1차적인 보호 수단으로 계란의 자연 그대로의 모양에서 힌트를 얻어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을 구분하고 거기에 육면체 박스로 감쌌으며 강한 부분은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였다. 동시에 외부로 보여야 하는 조건도 지켜지는 효과를 얻었다. 2차적인 구조에서 극히 미약한 도화지의 저항력(복원력)의 적용은 빼고 삼각기둥 구조의 튼튼함으로 대체하였다. 1차적인 구조와 2차적인 구조 사이를 이어주는 축은 기존의 방향에서 90도 만큼 틀어서 바꾸었데 구조의 튼튼함으로 인해 직접 가해지는 충격을 비스듬히 받게 하여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결과물 제작 다른 학우들이 해온 결과물 대부분이 접착제로 글루건이 사용되었다. 나도 사용하려고 하였으나 글루건이 고착되어 실제 사용 되었을때 종이의 가..
2007.12.14 -
작업 1
작업 1. 구조를 이루는 기본뼈대는 주어진 조건에서 최소의 사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 삼각기둥을 기본으로 하였다. 주된 사용방법 운동에너지 변환에 대한 고민 중에 물레방아의 원리에서 큰 구조의 힌트를 얻었다. 더해진 5층 높이만큼의 위치에너지를 낙하하면서 회전하는 운동에너지로 쉽게 변환할 수 있었다. 보조된 사용방법 도화지가 원래 가지고 있는 저항력(복원력)을 적용하여 1차 충격으로부터 힘의 전달을 최소화 하려고 하였다. 실험시 발생된 문제점 지면에 닿기까지 회전은 거의 없다시피 하였으며 내려오는 무게의 가속을 이기지 못하고 계란이 지면에 닿아 깨졌다. 지면에 닿았을 때 도화지의 저항력(복원력)은 예상보다 극히 미약해서 무의미했다. 지면에 닿았을 때 충격을 흡수 분산시킬 일차 보호구조에 대한 다..
200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