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2)
-
속도와 저항과의 관계 인식
속도와 저항과의 관계 인식 아무런 저항이 없는, 즉 다시 말해서 다른 운동으로 연결되지 않은 기본 골격은 아주 빠른 속도로 굴러간다. 물론 형태 자체의 변형으로 그 속도를 줄일 수 있지만, 그 속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것은 얼마나 많이 다른 운동으로 뽑아내느냐에 따라 저항의 크기가 결정되리라 생각되었다. 그 이전에 먼저 바퀴는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기존의 자전거에서 쉽게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기어가 작은 것일수록 회전하는 수는 많지만 힘이 약하고, 기어가 클수록 회전하는 수는 적으나 힘이 강하다. 따라서 바퀴가 커야 회전수는 적어도 뽑아낼 수 있는 힘은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시 말해서 바퀴는 크고 무게는 무거워야 다른 운동으로 많이 변형되어 전달되어도 충분히 굴러갈 것으로 생각하..
2007.12.15 -
저항과 변환
저항 먼저 저항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최대한의 저항을 줌으로써 낙하속도를 줄이려면 구조가 주어진 조건 안에서 최대한 커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만약 저항을 많이 받도록 하겠다는 목적으로 조밀하고 작게 만들면 오히려 가속이 붙게 되어 무의미해진다. 구조는 충분히 커야 한다. 이것을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밑에서 먼저 치고 올라오는 일정 양의 공기가 빠른 시간에 저항을 최대한 주면서 구조 사이를 통과해 주어야 다음에 치고 올라오는 공기가 연달아 지나치면서 똑같은 운동을 되풀이 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고 처음 올라왔던 공기가 다 빠져 나가기도 전에 그 다음의 공기가 밀고 들어온다면 먼저 들어온 공기가 구조 사이를 막고 있는 꼴이 되어버린다. 그로 인해서 나중에 치고 올라오는 공기들이 옆..
2007.12.14